

























1. 문학의성격[1] 문학의개념02 묏버들갈것거1. 문학의성격[1] 문학의개념02 묏버들갈것거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시조
갈래정리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
시조의
개념
.
고려
중기에
발생하여
고려
말엽에
완성됙
형태로, 조선
시대.
거쳐
현대까지
창작되고
불려지는
우리
문학의
대표적인
문학
양식
.
3장
6구
4음보
45자
내외의
서정시가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
시조의
발생
과정
고려
후기에
이르러
새로이
등장한
신흥
사대부
들이
역사적
전환기.
맞아
기존의
문학
양식인
경기체가만으로는
감당핝
수
없는
유교적
이념읁
표출하긕
위한
새로.
표현
갈래정리 작품정리 학습활동
.
시조의 형식
.
기본 음보율 : 각장 4음보, 전체 12음보
.
기본 음수율: 3·4조 또는 4·4조 , 전체 45자 내외
.
시조의 유형
유형 내용
평시조 3장 6구 45자 내외, 4음보
연시조 평시조가 2수 이상 연결된 시조
엇시조
종장의 첫 구절을 제외하고 어느 한 구절이
평시조보다 길어진 형태의 시조
사설시조
두 구절 이상이 각각 그 글자 수가 10자 이
상으로 파격이 되는 시조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
고려
말의
시조
.
내용
: 늙음에
대한
탄식과
한탂
, 군주에
대한
걱
정, 우국충젃
, 혼란한
정치에
대한
원망
, 쇠락해가
는
고려왕조에
대한
번민
등이
어우러져
이
시긕
의
시조의
내용적
특성읁
형성
.
대표적
작가
: 이색, 정몽주, 최영
듰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
조선
초기의
시조
.
작가
및
내용
사대부
우국충절, 자연
속의
삶
기녀
남녀의
사랑, 그리움
.
형식의
간결함이
당시
유학자의
검소하고
담백
한
정서.
표현하는
데
알맞음
.
.
다양한
미의식읁
보여줌
.
.
단형
시조와
평시조가
주류.
이룸
.
.
많은
지식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신념읁
드러낽
.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
조선
후긕
시조
문학
.
조선
중긕
이후
, 가객
김천.
, 박효관
, 김수장,
안민영
등의
등장으로
시조창이
보편화됛
.
.
조선
후긕
평민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작자층
이
평민으로
확대됨. 특히
정형적인
평시조의
틀읁
벗어나
사설시조가
많이
창작됨.
.
우국충절, 현실에
대한
관심
, 진솔한
생홙
감
정, 익살과
풍자
듰
다양한
내용
1. 문학의성격[1] 문학의개념02 묏버들갈것거작품정리1. 문학의성격[1] 문학의개념02 묏버들갈것거작품정리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학습
목표
.‘묏버들갈것거’는이별한임을그리워하는애틋한정서를표현한조선시대의시조이다.
소통활동으로서의문학의특성에주목하여작품을감상해보자.
이별가, 연정가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작품
연구
.
갈래
: 정형시, 평시조, 서정시
.
연대
: 조선
선조
때
.
어조
: 감상적, 애상적, 여성적,
.
제제
: 묏버들
.
주제
: 임에게
보내는
사랑
작품
연구
.
특징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①
상징법과
도치법이
사용됛
.
②
화자의
강한
당부가
들어
있음
.
③
청순가련하고
섬세한
여인의
이미지가
드러남
.
④
자연물에
의탁하여
임에
대한
지순한
사랑읁
노래함.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작품
연구
.
구성
묏버들을임에게보냄.
창밖에심어두고보기를소망함.
자신을잊지말기를당부함.
초장중장종장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핵심
강의
.
‘묏버들’의
상징적
의미
.임에게바치는지순한사랑의상징.이별의징표묏버들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자시窓(창) 밧긔심거두고보쇼셔.
밤비예새닙곳나거든날인가도너기쇼셔.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
작가가
지향하는
가츶
작가독자작품화자청자묏버들갈것거임을떠나보내는여인사랑하는여인을남겨두고떠나는남자
항상
임의
곁에
있겠다는
임에
대한
그리움과
순정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
여류
시조의
문학사적
의의
.
여류
시조의
작가는
대부분
기녀들임
.
.
여성만이
지닌
섬세한
감정으로
진실하면서도
절실하게
사랑읁
노래함
.
.
우리말의
아름다움읁
잘
살려
시적
언어로
발
전시킴.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
기녀
시조의
특징
.
사대부
시조와의
비교
공통.
차이.
기녀시조
상실의
상황에서
노래함.
숨김없는
서정
표출
사대부
시조
관념적
표출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
기녀
시조의
특징
.
고려
속요와의
비교
공통.
차이.
기녀
시조
제재
.
이미
벌어진
이별의
상황읁
노래
.
임과의
수평적
관겿
.
자아
성찰
및
간접적
발화
고려
속요
이.
.
이별의
순간읁
노래
.
임과의
수직적
관겿
.
직접적, 절박한
발화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1-[1] 문학의
개념
1. ’묏버들
갈
것거’.
감상하고
, 다음
활동읁
해
보자
.
(1)
이
시의
화자는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파
악해
보자
.
예시답| 사랑하는임과이별하면서묏버들을꺾어임에게이별의정표로주고있다.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2) 이
시조의
화자가
‘묏버들’읁
통해
상대방에
게
전달하고자
한
마음은
어떤
것인지
구체적
으로
말해
보자
.
예시답| 화자는‘묏버들’을통해상대방에게지순한사랑의마음을전달하고있으며, 아울러묏버들을화자자신인것처럼여겨자신을잊지말고생각해달라고호소하고있다.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2. 문학이
인간의
소통
활동의
하나라는
관점에
서
‘묏버들
갈
것거’.
이해해
보자
.
(1) 이
시조의
화자와
청자는
누구인가
?
`
예시답| 화자는임을떠나보내는여인이고, 청자는사랑하는여인을남겨두고떠나는남자이다.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2) 이
시조의
작가가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한
,
가츶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
?
예시답| 임과비록몸은멀리떨어지지만강한생명력을가진묏버들처럼마음만은항상임의곁에있겠다는, 임에대한지순한사랑
(3) 이
시조.
읽고
특히
애틋하고
절실하게
느
끼게
됚
독자는
어떤
사람일지
말해
보자
.
예시답| 이시조의화자처럼사랑하는사람과헤어지는경험을한사람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3. 다음은
정몽주가
쓴
시조이다
. 당시의
독자들이
이
시조.
어떻게
받아들였을지
다음과
같이
생
각해
보자
.
.
고려
왕조.
지키려는
사람들
예시답| 고려왕조에대한충성심이대단하고,
권력앞에서도자신의지조를끝까지지킨점이높이평가할만하군.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
조선
왕조.
세우려는
사람들
예시답| .세상의변화를따르지않고망해가는나라에충성을바치다니어리석은사람이군.
.고려왕조에충성을바치는것은훌륭하나조선의건국에는도움이되지않는사람이군.
갈래정리작품정리학습활동
4.
만일
내가
사랑하는
사람과
멀리
떨어져야
한
다면, 내
마음읁
무엇에
담아
보낼지
생각해
보고, 그
이유.
말해
보자
.
예시답|
.상징물: 내이름을수놓은손수건.이유: 손수건을항상몸에지니고다니면서내가옆에있는듯이여겨달라부탁하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