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개관 1
• 태종 : 의정부 설치, 私兵혁파, 문하부 폐지(의정부, 6조 체제), 6조직계제, 돈령부설치, 언론과 言官 봉쇄
• 세종 : 집현전 설치, 경연시행, 의정부서사제 시행, 국조오례의 제정, 훈민정음 창제, 공법 시행, 형벌제도 정비
• 세조 : 6조직계제 시행, 집현전 혁파, 경연폐지
• 성종 : 경연 시행, 홍문관 기능 강화, 경국대전 완성
조선시대 개관 2
• 연산군 : 무오사화, 갑자사화
• 중종 : 중종반정, 삼포왜란, 삼강행실도 반포, 의정부서사제 실시, 현량과 실시, 소격서 폐지, 기묘사화, 驛丞 폐지, 백운동서원 세움
• 명종 : 소수서원 편액
• 선조 : 향약의 시행과 중단, 임진왜란, 훈련도감 설치
• 광해군 : 계축옥사, 강홍립 출병
조선시대 개관 3
• 인조 : 인조반정, 이괄의 난, 대동법 시행, 정묘호란, 병자호란, 소현세자
• 효종 : 어영청 설치, 하멜 표류, 나선정벌, 대동법 확대실시
• 현종 : 예송논쟁, 동성통혼 금지
• 숙종 : 상평통보 주조, 서북인 등용명령, 탕평책 諭示, 기사환국, 송시열 사사, 사육신 복관, 갑술환국, 전국 대기근(1696), 단종 복위, 희빈장씨 사사, 대보단 완공, 백두산 정계비
조선시대 개관 4
• 영조 : 환국정치, 무신란(이인좌의 난), 전랑통천권, 한림회천권 폐지, 탕평비 건립, 균역법 시행, 사도세자, 동국문헌비고
• 정조 : 규장각, 庶類疏通절목 제정, 노비추쇄관 폐지, 초계문신제 시행, 강화에 외규장각 설치, 대전통편 완성, 서학서 소각, 신해통공, 영남만인소, 문체반정, 이순신 영의정 추증, 화성 축조
조선시대 개관 5
• 순조 : 황사영 백서사건, 장용영 혁파, 금난전권 폐지, 홍경래의 난, 서북인 문과 허용
• 헌종
• 철종 : 防穀 금지, 만인소 제한, 임술민란
• 고종 : 최제우 사형, 비변사폐지, 병인양요, 경복궁 완공, 서원 철폐, 戶布징수, 신미양요, 운요호 사건
조선의 정치세력
• 15세기 – 훈구파 (공신세력)
• 15~16세기 – 훈구와 사림의 갈등
• 17세기 – 사림의 분열(동인과 서인)
• 18세기 – 서인과 노론의 시대(서인과 남인, 노론과 소론의 갈등)
• 19세기 – 경화벌열의 시대(노론 중에서도 일부 가문)
왕실의 호칭 1
•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사용하는 호칭 : 廟號->왕의 재위시 행적에 대한 평가인 동시에 추존의 의미
• 종묘 :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셔둔 왕실의 사당
• 중국 : 7묘제->9묘제
• 신라 : 5묘제
• 고려 : 7묘제
• 조선 : 5묘제
• 5묘제 : 4대 이후는 영녕전으로 신주 옮김, 그러나 옮기지 않는 경우가 많음
종묘
왕실의 호칭 2
• 조와 종 : 창업을 하거나 공이 있는 왕(祖), 守成한 왕(宗)[예기에, 공이 있는자는 조, 덕이 있는 자는 종이 된다]
• 연산군과 광해군은 왕취급을 받지 못함
• 선조와 인조 : 사직이 멸망할 위기에서 중흥을 꾀한 왕의 의미
• 종에서 조로 : 영조는 1889년에, 정조는 1899년,순조는 1857년에 종에서 조로 추존
왕실의 호칭 3
• 적장자로 오른 왕:문종,단종,연산군,인종,현종,숙종,순종
• 연산군과 광해군:군으로 강등
• 중종반정:성균관을 기생방으로, 궁궐근처 민가를 사냥터로, 풍기문란, 유흥비탕진(지지를 얻음)
• 인조반정:폐모살제, 대명의리 명분(거국적 지지를 못 얻음)
• 연산군일기, 광해군일기
왕실의 호칭 4
• 후사가 없는 왕의 경우
- 대원군 : 후사없이 왕의 죽었을 경우 傍系에서 들어와 계승했기 때문에 그들의 생부를 대원군이라 지칭, 4명의 대원군 중에 생존 당시 대원군으로 칭호를 받은 1인
- 부원군 : 왕의 장인과 親功臣에게 주던 칭호
• 대군과 군
- 대군 : 왕비 소생의 왕자
- 군 : 후궁 소생의 왕자, 왕손이거나 공신의 봉작
• 공주와 옹주
- 공주 : 왕비 소생의 딸(남편: 부마->尉:종1품)
- 옹주 : 후궁의 몸에서 태어난 딸(남편 : 부마->尉:종2품)
• 후궁의 서열 : 내명부
- 정1품 빈, 종1품 귀인, 정2품 소의, 종2품 숙의….
- 왕의 承恩을 입었는가, 자녀를 생산했는가, 자녀 중에 왕자가 몇 명 있는가, 그 왕자가 세자가 되었는가에 따라 결정
조선시대 관원의 출근
• 묘시(5~7시) 출근
• 이조는 판서보다 미리 출근하여 맞이, 사간원은 자유로움
• 공좌부(출근부)에 서명:근무성적과 승진에 반영
• 정기조회 참여: 1일, 15일
• 조참 : 매월 4회
• 상참 : 매일, 문안 약식조회
• 경연이 있을 경우 인시(3~5시)에 출근
문과 급제자의 일생 1:이항복
• 성균관 입학의 어려움
• 생원:100명, 사서오경
• 진사:100명, 문장시험
• 초시에서 700명 선발-복시에서 실패
• 성균관 기재생:四學 중 15세 이상 자 구두시험(소학) 100명
• 문관:741+1038=1779
• 무관:3324+502=3826
홍패와 백패
문과 급제자의 일생 2:이항복
• 1580년 24세에 병과로 급제 - 학교소속 합격률(10%), 성균관 70%
• 초장:사서오경에 대한 필기와 구두시험
• 중장:문학시험인 賦와 외교문서 문장시험
• 종장:논술로 급선무 대책시험
• 합격증 수여식 : 창방의 또는 방방의, 급제자의 부모형제 참석, 어사화와 일산 하사
• 의정부의 축하잔치 : 은영연
• 국왕앞에서의 사은례, 문묘에서 알성례
• 귀향한 이후에 환영행사 : 삼일유가, 홍패고사
시권
축하행사
문과 급제자의 일생 3:이항복
• 權知 : 정직을 위한 수습기간
• 정9품직 제수, 갑과는 종6품, 7년 기간차이
• 삼관분속 : 승문원, 성균관, 교서관
• 승문원 : 연소하고 총명한 자
• 성균관 : 나이 많고 덕을 쌓은 자
• 교서관 : 고금의 사리에 박한한 자
• 승문원>성균관>교서관 : 문벌?
• 허참례(면신례):소속의 허락을 받는 신고식
• 고려말기 문벌 귀족의 어린 자제들이 음덕으로 관직을 얻게 되자 선배 관료들이 신참관료의 오만함을 꺾고 상하의 위계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시작
• 승문원부정자->예문관검열->청요직 역임(25%)->영의정(1%)
조선시대 여론 1
• 언론기구 : 삼사(사간원, 사헌부, 홍문관)
• 사헌부와 사간원이 합세한 양사합계
• 양사와 홍문관이 가세한 삼사합계
• 삼사합계는 조정의 공론(公論)
• 삼사 관원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을때 : 避嫌 – 언론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기능
• 16세기 사림 세력이 삼사의 언론 장악
• 지방의 여론형성은 서원과 향교
• 모아진 여론은 집단 상소로 : 萬人疏
• 16세기 붕당의 형성과 학파, 서원의 연결
- 남인은 경상북도 일대의 이황과 그의 제자, 서원
- 북인은 경상남도 일대의 조식과 그의 제자, 서원
조선시대 여론 2
• 서원과 중앙정치집단 그리고 山林
• 산림 : 학문적 소용을 바탕으로 과거시험을 거치지 않고 높은 벼슬에 올라 향촌사회를 근거로 중앙정계에 막강한 영향력행사
• 신문고 : 1401년 처음 설치
• 담당관원이 해결하지 못하면 사헌부에 호소
• 지방은 고을수령, 관찰사, 암행어사, 사헌부에 호소
• 사헌부 처리가 안되면 신문고
• 신문고를 이용한 사람은 대부분 서울에 사는 전현직 관리-토지나 노비의 소유권과 관련된 송사에 대한 불만이 대부분
• 상언 : 왕의 행차할 때 나아가 억울함을 글로 호소
• 격쟁 : 왕이 있는 곳에서 징을 울려 구두로 억울함을 호소
上書
그 무엇보다 무서운 역병
• 1660~1864년 사이 역병발생 79차례
• 1807~1835년 사이 100만명 감소:왜란 호란보다 더 큼
• 주된 역병:콜레라와 두창
• 국제교역, 사회변동, 문화적 관습(목욕안함, 채소를 안 씻음, 우물옆뒷간)
• 피하는 방법 : 도망
• 대체로 무슨 병인지 대부분 모름
• 국가 : 設粥, 賜米
• 역병은 疫神이 붙은 것으로 이해->제사, 굿, 수륙재
자매문기
충, 효, 열의 본질
• 삼강행실도:신하의 임금에 대한, 자식의 아버지에 대한, 아내의 남편에 대한 윤리
• 세종 10년 김화가 아버지 살해한 것이 계기
• 백성을 위해 그림까지 붙여 간행, 국문으로 번역
• 내용은 상당히 참혹 : 손가락을 끊고, 넓적다리 살을 칼로 벰 – 비합리성과 잔혹성
• 열녀편 110명 중에 자살과 타살한 열녀가 80명, 효자편에서 죽음으로 효자가 된 경우는 5명
• 중국의 취가라는 여성은 반란군이 남편을 잡아 삶아 먹으려 하자, 자신이 더 맛있을거라 하여 대신 배를 채움
• 아내 대신 죽은 남편은 거의 안보임
• 과연 오륜행실도는 한국의 명저인가 : 여성에게 자살을 권하는 책이..인류보편적이 아님
• “잡힌 사람은 지아비입니다. 불쌍히 여겨 그 목숨을 살려 주고, 우리 집 땅속에 묻어 둔 장 한 독과 쌀 한 말 닷 되가 있으니, 파내어 지아비 대신 가져가십시오.”
하였으나, 군사가 듣지 않았다. 유씨가 말하기를,
“지아비는 여위고 작아서 먹을 것이 없습니다. 살지고 검은 아낙은 맛이 좋다하는데, 내가 살지고 검으니, 스스로 삶아져서 지아비를 대신하여 죽겠습니다.”
하니, 군사들이 드디어 그 지아비를 놓아주고 유씨를 삶았다.
민족의 영산? 백두산
• 상식과는 달리 백두산에 대한 과거의 기록은 흔하지 않음
• 적극적인 인식은 숙종 38년(1712)에 정계비를 세우면서
• 서명응은 연못을 태일택(太一澤)이라고 지음
• 그러나 단군이 강림했다는 현대식 인식은 보이지 않음, 단지 아름다움 뿐
• 일제시대 민족의 집단인식이 생기면서부터. 최초로 백두산을 신성시한 사람은 최남선
• 백두산에서 발생한 弗咸문명 조선문명의 근원이라고 주장
• 백두산을 소멸해가는 조선인이 다시 태어날 어머니의 자궁이라고 주장
• 백두산:동방문화의 최요의 핵심, 동방의식의 최고의 연원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소득세의 특징 (0) | 2015.12.02 |
---|---|
콤플렉스의 종류 & 동서양의 인물 (0) | 2015.11.30 |
조사방법론-정량조사방법,정성조사방법 (0) | 2015.11.25 |
응급의료체계Emergency Medical Technician (0) | 2015.11.22 |
지구계의 진화 (0) | 201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