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남녀 원제: 飮食男女(<Eat Drink Man Woman>) 감독: 이안 출연: 랑슝, 양꾸이메이, 우쳰롄, 왕위원 등 제작: 1994년 / 대만군 감 독 : 정지영 출 연 : 안성기, 최민수, 최진실, 이혜영 1990년 작
|
음식남녀
원제: 飮食男女(<Eat Drink Man Woman>)
감독: 이안
출연: 랑슝, 양꾸이메이, 우쳰롄, 왕위원 등
제작: 1994년 / 대만
방송길이: 124분
나이등급: 15세
HD 방송
줄거리:
주사부(랑슝 분)는 대만에서 최고로 인정받았던 요리사였지만 미각을 잃은 후 퇴직하고 세 딸들과 함께 낡은 주택에서 있다. 그는 매일 맛있는 음식을 한 상 준비해 가족들과 함께 먹는 것을 낙으로 삼고 있다. 혼기를 놓친 큰딸 쟈전(양꾸이메이 분)은 중학교 선생으로 보수적이며 독실한 기독교신자다. 둘째인 쟈쳰(우쳰롄 분)은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능력 있는 커리어우먼으로 애인도 있다. 어려서부터 요리에 소질이 있었으나 아버지의 반대에 부딪친 이후로 절대 주방에 들어가지 않는다. 막내 쟈닝(왕위원 분)은 대학생이며 패스트푸드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가족들은 일요일마다 식탁에 둘러앉아 함께 식사를 하지만 서로의 생활에 대해 관심도 없고 딸들은 오로지 독립하고 싶은 생각뿐이다. 그러던 와중에 주사부는 요리사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감각인 미각을 잃게 된다. 큰딸 쟈전은 시집 한 번 못 가고 늙을까 걱정을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자신이 어머니의 자리를 대신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고 있다. 독립적인 성격의 소유자인 둘째딸 쟈쳰은 혼자 독립해서 살겠다고 선언했다가 다시 또 해외로 파견근무 하겠다고 통보하는가 하면 남자관계도 복잡하다. 가장 막내인 쟈닝은 친구의 남자친구를 가로채어 임신을 하게 되어, 가장 먼저 집에서 나가 살림을 차리게 된다. 첫째인 쟈전은 동료교사에게 마음을 빼앗겨 사랑에 빠지게 되고, 아버지와 가장 대립관계였던 둘째 쟈쳰이 오히려 마지막까지 아버지 곁에 남게 된다. 딸들이 자신을 곁을 떠나게 되자, 주사부는 성대한 저녁식사를 준비해 이웃집에 사는 둘째 딸의 친구 진룽과 그녀의 어머니까지 초대해 중대 발표를 한다. 가족들이 다 모인 자리에서 집을 팔고 딸의 친구인 진룽과 미래를 약속한 사이라며 결혼 소식을 선포하자 가족들은 모두 경악한다. 이미 팔린 집에 마지막까지 홀로 남은 쟈쳰은 스스로 주방에 들어가 음식을 준비해서 가족들을 초대하지만 다들 바쁘다는 핑계로 아버지와 단둘이 식탁에 마주하게 된다. 넓은 식탁에 준비된 성찬 앞에 앉은 두 사람은 만감이 교차하고, 아버지 주사부가 국을 마시는 순간 딸의 요리에서 사별한 부인의 음식 맛을 느끼며 미각을 되찾게 된다.
주제:
영화가 시작되는 부분에 “음식”, “남녀” 이 네 글자가 화면을 가득 메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음식”과 “남녀”는 위아래로 놓여 있고 전혀 다른 글자체로 쓰여 있다. 영화를 만든 이안 감독은 왜 네 글자를 시각적으로 분리해놓았을까? 그것은 바로 주인공인 주사부의 일가족이 같은 지붕 아래 함께 살지만, 각자의 세상에서 따로 사는 듯한 상황을 표현하기 위해서이다. 영화 시작 부분에 나오는 식사 장면과 엔딩 부분의 식사 장면을 비교해보면 매우 대조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사랑이 부족한 이 가족들에게는 아무리 대단한 산해진미가 눈앞에 펼쳐져 있어도, 그들의 식욕을 돋우지 못한다. 그들에게는 각기 부족한 사랑을 대신해주는 대체품이 있다. 아버지 주사부는 온종일 가족들의 식사 준비에 매달리고, 첫째 딸 쟈전은 종교, 둘째딸 쟈쳰은 애인, 막내 쟈닝에게는 공부와 아르바이트. 하지만 대체품은 대체품일 뿐, 이 가족들은 모두 사랑을 갈구했고, 영화가 끝날 즈음에는 모두 나름대로의 사랑을 얻게 된다. 이 영화는 엔딩 부분에서 가족은 끊으려야 끊을 수 없는 관계라는 점, 그리고 해결하지 못할 갈등은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매듭을 짓는다. 마음속 깊은 곳에 자리 잡았던 갈등이 해결되자 아버지 주사부는 둘째 딸 쟈쳰이 만든 국을 마시는 순간, 수년간 잃어버렸던 미각을 되찾게 되는 극적인 반전이 일어난다.
감상 포인트:
<음식남녀>는 이안 감독이 대만에서 제작한 3편의 아버지에 관한 영화 중 세 번째 작품이다. 전작인 <쿵후 선생(1991)>와 <희연(1993)>과 마찬가지로 이안 감독은 <음식남녀>에서 중국인 사회의 전통과 현대 간의 충돌 그리고 동서양 문화 사이의 차이를 이야기하고 있다. 영화 곳곳에 등장하는 화려한 중국 요리를 통해 “음식과 남녀 간의 사랑은 인간의 욕망”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쿵후 선생>에서 아버지로 나왔던 배우 랑슝은 음식남녀에서도 "주 씨 노인“으로 등장하며, 노인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인물 묘사 면에서 전작보다 세밀해졌으며 줄거리 역시 <쿵후 선생>보다 복잡해졌으나, 인물의 개성은 보다 선명해졌고, 스토리 전개 역시 매우 엄격하고 정교해졌다. 이안 감독은 이 영화를 통해 자신의 개성이 담긴 통속적인 영화 기법을 가장 높은 경지까지 끌어올리는데 성공했으며, 오스카 영화제 최우수 외국어영화상이 원하는 분위기에 가장 근접한 작품으로 평가되었다.
<쿵후 선생>에서 고향을 떠나 미국에서 생활하게 된 주인공에 비해, 음식남녀에서는 자신의 고향에서 무너지는 부권(父權)에 적응하게 되는 아버지의 쓸쓸한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안 감독은 권위로 가득했던 아버지 세대의 쇠퇴와 젊은 세대의 혼란과 방황을 중용과 평화를 매개체로 삼아 한데 어우러지게 했다. 영화 전체에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 대립으로 인한 긴장감이 느껴지며, 엔딩 부분에 등장하는 부녀 사이의 화해 장면은 쓸쓸하면서도 따뜻한 감동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감독:
1954년 10월23일 대만 핑둥의 차오저우에서 태어난 이안 감독은, 그의 선조들은 중국 장시성 더안 출신으로 대만 국민당 통치 시절에 핑둥 현장을 역임한 관료 집안이었다. 부친이 중학교 교장선생인 영향으로 전통적인 유교 교육을 바탕으로 엄격하고 고풍이 가득한 집안 분위기에서 성장했다. 이러한 가풍으로 인해 그의 영화에서는 중국전통문화에 대한 의식을 느낄 수 있으며 가부장적인 전형적인 중국전통가정은 그의 작품에서 중요한 소재로 다뤄지고 있다.
1975년 대만예술대학을 졸업한 그는, 미국 일리노이 주 대학에서 감독과 영화 제작을 공부하고 석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에서 공부하는 동안《追打》(<The Runner>),《我爱中国菜》(<I love Chinese Food>),《棒艺术家》(<Best The Artist>)등 16mm 작품들을 찍었다. 1982년에는《荫凉湖畔》(<I Wish I was That Dim lake>)을 제작하여 뉴욕대학으로부터 장학금을 받고, 대만정부가 주최한 독립제작영화대회에서 단편스토리영화상을 수상했다.
졸업 이후 6년간 시나리오 창작에 매진한 그는 중국문화와 미국문화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작업에 몰두하게 되고, 1990년에는 마침내《推手》(<Pushing Hands>)의 시나리오를 완성하여 대만정부로부터 우수 시나리오 상을 수상하고, 이때 받은 상금으로 제작한 <쿵후 선생>은 뉴욕으로 건너간 대만 가족의 세대 차이와 문화적 차이를 다룬 영화로, 대만영화제인 ‘진마장영화제’에서 감독상 등 8개 부문에서 노미네이트되는 성과를 거두게 된다.
《推手》(<Pushing Hands>)의 성공을 발판으로 삼아 1993년에는 전통윤리를 소재로 다룬 통속적인 영화 《喜宴》(<The Wedding Banquet>)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 영화 역시 동서 간 문화와 세대 간의 격차, 윤리 관념과 인간관계에서 오는 차이를 할리우드식으로 제작한 중국영화라 할 수 있다. 큰 호평을 받은 이 영화는 베를린영화제에서 금곰상, 시애틀영화제에서 감독상, 오스카에서 외국영화상에 노미네이트되었다.
1994년에 제작한 《饮食男女》(<Eat Drink Man Woman>) 그가 제작한 세 번째 영화로, 가족과 신구세대의 갈등을 주제로 삼은 이 영화로 오스카의 외국어영화상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고, 제39회 아태영화제에서 작품상을 수상하였으며 편집상을 받았다. 가족 간의 갈등을 주제로 다룬 . 이 세 편의 영화로 명실 공히 국제적인 감독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그 후 제작한 최초의 영어 영화인 <이성과 감성(理智與情感)>(<Sense and Sensibility>), 무협영화 <와호장룡(卧虎藏龍)>(<Crouching Tiger And Hidden Dragon>) 역시 폭발적인 반응을 얻어 2006년 타임지는 그를 전 세계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안에 포함시켰다.
그밖에도 워터게이트 시대를 다룬 <아이스 스톰>, 남북전쟁 시기의 서부극인 <라이드 위드 데블>, 우드스탁 페스티벌을 배경으로 한 <테이킹 우드스탁>, 1960년대 이야기인<브로크백 마운틴> 등을 통해 미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통찰력을 갖춘 영화를 제작했다.
|
'my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르지오 아르마니(Giorgio Armani)는 누구?- 패션세계,철학-아르마니 그룹의 브랜드-코코샤넬과 다른점- (0) | 2013.01.14 |
---|---|
스마트폰 위치정보광고의 규제 방향 (0) | 2013.01.13 |
분홍신 원제: The Red Shoes 감독: 마이클 파웰, 에머릭 프레스버거 주연: 안톤 월브룩, 마리우스 고링, 모이라 쉬어러, 레오니드 매신 제작: 1948년 / 영국 (0) | 2013.01.13 |
굿 바이 원 제: Departures 감독 : 타키타 요지로 출연 : 모토키 마사히로, 히로스에 료코 제작 : 일본 / 2008년 (0) | 2013.01.13 |
매력, 사랑, 결혼, 정서 갈등 (0) | 201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