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력, 사랑, 결혼, 정서 갈등
매력, 사랑, 결혼(교재 8장)
1. 매력
2. 신체적 매력과 호감
3. 사랑
4. 결혼
5. 득실이론과 친밀한 관계
6. 문제가 된 관계
▶우정, 사랑, 부부관계 등 다양한 형태의 인간관계
▶매력, 유사성, 신체적 매력, 정서적 욕구 충족
▶대인관계의 중요성
1. 매력
지리적 인접성
관계에서 얻는 보상과 만족
신체적 매력, 취미, 태도, 가치관, 인생관의 유사성 등 →친한 관계형성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
1) 매력과 보상이론
과거든 미래든 보상을 주는 사람을 좋아한다.
불쾌한 감정을 느끼게 한 사람보다 보상을 준 사람을 더 좋아함
▶신념과 흥미가 유사한 사람
▶어떤 기술이나 재주가 있는 사람
▶신의, 합리성, 정직성, 친절함과 같은 유쾌하고
칭송할만한 자질을 갖춘 사람
▶나를 좋아하는 사람
2) 형평이론
각자 어느 정도 보상, 비용이 발생
인간관계 만족여부는 각자 느끼는 보상과 부담 비율의 균등성 여부로 결정→서로 엇비슷할 때 만족
비용이 많으면 이용당했다 느끼고 적으면 죄책감
but, 연인관계에서는 예외도 많음
3) 유사성과 매력
자기와 비슷한 태도와 특징을 갖는 사람을 좋아함
“유유상종”
Byrne등(1971)
자기와 목표인물이 태도유사성이 높을 때 더 좋아함
정치적, 경제적, 종교적인 것 등
유사성-매력효과를 약화, 강화시키는 요인
: 유사성의 중요성 정도
Touhey(1972)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도상 성차 있음
컴퓨터로 종교관과 성문제의 태도 유사성 기준으로
짝짓기/ 교제 후 상대방 매력도 측정
태도 유사성은 매력을 확실히 예측
but, 여성은 종교관, 남성은 성적 태도가 중요
∴태도 유사성이 매력을 초래하지만 개인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태도영역일 때만 발생
4) 호감의 상호성
▶호감을 교환하려는 강한 압력
나를 좋아하는 사람을 내가 좋아해야 한다는 규범
유사성-매력 효과를 설명하는데 도움
: 유사성은 나를 좋아할 것이라는 가정을 갖게 해줌
▶Aronson & Worchel(1966)
피험자의 실험협조자에 대한 매력은 실험협조자가 피험자를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에 의해서만 영향
유사성 정보는 영향 없음
자신에 대한 타인의 태도를 아는 것이 좋아하는 것을 결정
▶상대가 나를 좋아하는데 중요차원에서 유사하지 않은 경우 더 고맙게 생각→나와 유사하지 않으면서도 나를
좋아하므로
▶Jones, Bell & Aronson(1972)
실험보조자가 피험자를 좋아하되 그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을 때 가장 좋아함
→의견차에도 불구하고 상대가 나를 좋아하면 아주
기분좋아짐
:상대가 나의 자질을 아주 좋게 평가하여
자기 태도나 견해 차이를 무시한다고 해석
5) 신체적 근접과 매력
▶가까이 있어야 접촉기회와 호감 증가
Bossard(1932) 결혼상대자의 신체적 근접성 중요
▶Fedstinger, Schachter & Back(1950)
제비뽑기로 결정된 아파트 위치에 따라 이웃사촌 되는 양상조사
물리적 거리보다 기능적 거리가 중요
▶발생이유
a.낯선사람과 교재하는 것이 부적합하고 위험하다는
사실 학습
b.낯선사람이 의도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편안하게
생각하지 않기 때문
▶Jajonc(1968)
어떤 종류의 낯선 자극이라도 잦은 노출은 긍정적 평가 증가: 광고효과
아는 사람과 닮기만해도 낯익은 사람으로 지각
but, 만날 때마다 불쾌하게 행동하는 낯선 사람에게 자주 노출되면 더 싫어하게 됨: 초기 불쾌한 느낌은 잦은 접촉에 의해 더 강화
▶프라이버시의 욕구가 강한 사람은 잦은 접촉에 부정적 반응
2. 신체적 매력과 호감
미에 대한 고정관념을 토대로 행동, 신체적 결함에 관한 부정적 고정관념, 기타 다른 특징에 반응
1) 외모에 대한 반응
용모 때문에 상대에 대한 호오도가 결정됨
외모에 대한 주목은 인지적 제외 즉 일반적 심사(screening)반응 중 하나
▶Rodin(1987)
낯선 사람과 함께 있으면 두 단계
a. 먼저 부적합한 사람 제외
제외된 사람은 주목 못받고 기억도 안됨.
b. 나머지 사람들 중 누구를 좋아할 것인지 결정
∴ 인지적 제외과정을 통해 친구로서 적합하지
않은 사람을 제거함으로서 시간을 절약
▶기준들
체격: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 등에 대한 고정관념
행동:
지배적으로 행동하는 남성이 더 사랑받음
제스처를 많이 쓰고 테니스에서 강한 서브, 경쟁적,
권위적 vs 우울해 보임, 고개를 끄덕여 동의하기,
즐기기 위해 테니스치기, 쩔쩔매는 사람
표정을 다양하게 짓는 여성이 더 좋게 평가됨
2) 매력의 효과
▶남자는 여자보다 외모에 더 민감하게 반응
▶매력적인 사람은 여러 가지 긍정적 자질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리 “후광효과 halo effect”
▶매력적인 사람에게 부정적 추리도 함
매력적인 여자는 허영심 많고 물질주의적, 자기 남편에게 덜 충실할 것이라 판단
여성정치가의 매력은 이득이 되지 않음
관리상에 여성성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
▶출세와 성공을 노력해서 얻기보다 외모를 토대로 부여되는 것이라 생각
Dion & Dion(1987) 공평한 세상을 믿는 일반적 신념 때문에 발생
‘좋은’사람은 좋은 얼굴을 부여받은 반면 ‘나쁜’ 사람은 그렇지 않다
공평한 세상을 더 강하게 믿을수록 발생
3) 신체적 매력의 판단
동안형, 성인형 미인 기준-동서양 모두에 존재
남성의 flat hip, 큰 기
여성의 키의 효과:
여성의 95%는 자기보다 키 큰 남자 선호
남성의 80%는 자기보다 키 작은 여자 선호
키 작은 여자가 데이트빈도 높았으나
남성의 키는 상관없음
4) 짝짓기 가설
▶자기보다 더 매력적인 사람으로부터는 거부당할지 모른다는 두려움 & 덜 매력적인 사람을 거부하는 경향
→신체적 매력의 유사성을 토대로 짝짓는 경향 발생
▶용모의 유사성은 오래 같이 살수록 증가: 닮은 부부
▶형평이론이 존재
용모상 차이가 나면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돈 많고 힘있고 똑똑하고, 성적 매력 있고 유명해야 한다 가정
▶동성친구에서도 매력성의 짝짓기 발생
:자신의 매력성은 친구의 용모에 의해 영향받기 때문
∴신체적 용모는 합리성, 공평성 여부에 관계없이
우정, 사랑의 결정에 결정적 역할
3. 사랑
정서가 가장 많이 개입된 관계
과학적 연구가 가능한가?
1) 사랑의 정의
두 친구가 서로를 잠재적 성적 파트너로 지각할 때 사랑으로 넘어감
상대의 바람직한 측면(매력적 외모, 성격, 상호교환적 좋아함 등)에 의해 촉진됨
Walster & Walster(1978)
① 로맨틱한 사랑
격한 정서적 느낌
타인과의 결합을 강렬히 원하는 것
다정함, 성욕, 흥분, 고통, 불안, 구원, 이타주의,
질투 등이 뒤섞인 감정
② 인정적 사랑(compassionate): 두 사람간의 장기적인 깊은 애정적 감정이 생긴 것. 로맨틱한 사랑의 격정적 요소가 가라앉은 후 발생
2) 6가지 사랑이론
Hendrick & Hendrick(1986)
▶남성:격정적 사랑, 게임-놀이 사랑
여성: 우정, 논리적, 소유적 사랑
파트너가 서로 유사한 경향
▶파탄을 모면한 부부는 격정적 사랑점수 높은 반면
게임-놀이 사랑에서 낮은 점수
▶격정적 사랑에서 제3자 방해하면 관계가 더 깊어진다
:로미로와 줄리엣 효과
▶정효택(1994)
한국인의 사랑태도 점수
3) 사람의 특성과 사랑 유형간의 관계
Hazen & Shaver(1987)
아동기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
“사랑은 경험하여 배우는 것”
기준: 애착유형
① 안정적 애착
아동기때 부모를 사랑을 베푸는 따듯한 사람으로 지각
성인기에 친밀한 관계형성이 쉽고 인간관계 좋음
깊고 지속적인 사랑, 이혼적음
“친구같은 사랑”태도
② 회피적 애착관계
부모가 자신을 거부했다고 지각
상대가 자신에게 너무 가까이 다가오면 불안해하고 불신하는 느낌
정서적 고저가 반복되는 인간관계
“유희적 사랑” 태도
③ 불안/양가감정(anxious/ambivalent)적 애착관계
부모와 혼란된 관계. 사랑하지만 때로 냉정하게 거부
파트너와 친밀해지기를 바랬지만 사랑을 주기 어려움 연인이 떠날까봐 걱정
“소유적 사랑” 태도
4. 결혼
▶결혼만족도 조사
:현재 남편과 결혼하겠는가? 그렇다 55%, 아니다 45%
▶결혼한 사람은 안한 사람, 이혼, 별거, 과부, 홀아비 보다 더 행복
but, 15년간 결혼과 행복간의 상관은 남녀 모두에서 낮아져옴
▶결혼한 사람과 아닌 사람간의 생활스타일이 점점 비슷해짐: 성개방 풍조, 혼외정사에 대한 태도변화?
▶여자들의 경제적 기회증가, 새로운 직업유형: 남편은 더 이상 생존에 필수적이지 않다?
1) 결혼관계의 위험
▶Johnson & Rusbult(1989)
현재관계의 몰입은 잠재적 대체적 파트너를 평가절하
매력적인 사람일 경우 평가절하 하여 파국회피
▶질투
삼각관계에서 야기된 혐오적 정서적 반응
관계를 위태롭게 하고 자존심이 매우 상함
경쟁자 속성을 평가절하 하면서도 인기는 긍정적 평가
파트너가 사과하면 도움되지만 핑계대거나 경쟁자에 대한 매력을 핑계로 합리화하면 도움 안됨
원래 불만과 갈등관계라면 파국화
▶가공의 경쟁자, 파는너의 과거 속의 어떤 사람, 알려지지 않은 잠재적 위협에 대해 질투: 자기 파트너에게 이전 연인에 대해 언급하여 고의적으로 질투심 유발
대학생 여성의 1/3, 남성의 1/5이 사용. 위험한 장난.
▶의처증, 의부증의 정신병리적 문제
5. 득실이론과 친밀한 관계
▶득실을 따져 관계 유지 결정
타인으로부터 받는 칭찬의 총량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누진적으로 증가할 때, “득” 이 중요
좋아하다가 감소되면 “실”의 상황
▶Aronson 등
소득조건: 긍적적 조건보다 실험조수를 더 좋아함
손실조건: 부정적 조건보다 실험조수를 더 싫어함
친밀관계에서 손실효과 발생하기 쉬움
“당신은 항상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을 가슴 아프게 한다”
늘 좋아했던 사람이 애정의 정도를 감소하면 그를 싫어하게 되고 관심 없던 사람이 관심을 보이면 갑자기 그를 더 좋아함: 금실 좋던 부부가 한,두번 싸움으로 화나있을 때 낯선 사람의 유혹에 넘어가기 쉬움
▶손실효과는 친한 친구관계에서도 발생
: 좋아하는 친구는 우리를 항상 좋아하기를 기대
친구가 칭찬을 적게 하거나 줄이면 손실효과 발생해서 싸우는 경우 발생
▶Floyd(1964)
▶인간관계는 당사자가 자신의 감정을 감추지 않고
성장하려 노력하고 창의적 방법으로 변화를 시도하여 갈등을 해결 할 때 창의적으로 되고 성장
“솔직함” “신뢰성”이 중요
▶개방적이고 솔직하고 신뢰로운 인간관계 즉, 진정한 느낌과 인상을 서로 교환할 수 있는 관계에서는 정체현상에 도달하지 않음
▶“자기-개방” 이 친구되기에서 중요함
친밀감을 증가시킴
곤란한, 고통스러운 정서를 토로하면 강한 구원의 감정, 일반적 행복감, 신체증상의 감소까지 초래
개방의 상호성, 진실성도 중요
6. 문제가 된 관계
1) 문제의 내용
▶독립성 대 친밀하고자 하는 욕망
▶공개적이고 정직한 요구 대 프라이버시
▶예측할 수 있는 상호작용 욕구 대 신기한 경험 욕구
① 남녀갈등의 원천 표3.
② 비유사성의 발견
시간경과에 따라 태도, 가치, 선호상 비유사성 발견
→부정적 감정 각성
격정적 관계에서 놓치기 쉬운 정보들
데이트 기간에 발견하는 것이 오히려 다행
비유사성이 지각되어도 상대가 결국 변화할 것이라 기대하지만 결국 변화하지 않음
애초의 유사성이 비유사성으로 반전되기도
③ 권태
똑같은 방법을 반복적으로 행해서 점차 자신이 쳇바퀴 속에서 맴돌고 있는 것으로 지각
권태를 상대방의 잘못으로 귀인
④ 부정적인 평가
오래된 인간관계가 긍정적 상호교환에서 부정적 상호교환으로 바뀌어 질 때 자기-좌절적(self-defeating) 측면 발생: 상대를 상호 부정적으로 평가
집안팎의 과제, 시간압박, 해결해야할 과제, 의무사항 등에 좌절
언어적, 행동적 자상함이 사라짐
관계가 틀어지면 상대의 좋은 행동을 외부귀인하고 나쁜 행동을 내부귀인
부정적 행동 강조, 긍정적 행동 최소화
행복한 파트너는 관계 고양시키는 귀인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