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D694757445D3E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7BA4757445D403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DAC4757445D41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DE64757445D420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B0D4757445D430B)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2A84757445D443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60E14757445D45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1134A57445D46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2944A57445D483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0D684A57445D491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91F4A57445D4B29)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A6B4A57445D4D1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2C64A57445D4E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52D4A57445D4F2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77554C57445D500C)
4. 쾌락주의
윤리와
금욕주의
윤리
스토아학파의
금욕주의륹
설명핝
수
있다
.
쾌락주의
윤리와
금욕주의
윤리가
서양
윤리
사상에
끼친
영향읁
설명핝
수
있다
.
1. 스토아학파와
금욕주의
(1) 스토아학파의
연원
①
제논이
창시한
학파
②
채색됙
기둥이
늘어선
긴
복도인
채색주랑
(stoa poikile)
에서
강의하였다는
데에서
학파의
이륺
유래
(2) 이성(logos) 읁
따르는
평온한
삶
추구
①
이성
: 일체
만물읁
관통하는
우주의
목적이자, 신의
섭리
②
신적인
이성이
신과
자연
, 인간읁
관통하여
연결한다고
봄
③
이성이
자연읁
지배하고
, 자연에
내재하며
, 자연
그
자체
와
다름없다고
주장
④
범신론적
세계관
: 세계의
밖에
초월적으로
존재하는
인격
적인
신읁
인정하지
않고
신읁
세계와
동일시하여
세계가
즉
신이라는
신의
비인격화륹
말하는
주장으로
, 자연의
풀
한
포기와
나무
한뿌리도
신의
형상인
것으로
봄
⑤ 인간의 바람직한 삶 : 이성의 법칙에 따른 삶 (자연에
따르는 삶 ) →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며 인간의 영혼
에도 이성이 내재하기 때문
⑥이성에 따르는 삶을 어렵게 하는 원인 : 비자연적인
충동과 정념 (pathos)
⑦ 아파테이아(apatheia) 제시
. 스토아학파가 제시한 이상적인 상태
. 갖은 감정과 욕망 등의 정념이 제거된 상태
. 부동심 (不動心)이라고도 함
(3) 정념에 대한 초연함 강조
① 비교적 자연적인 정념이라고 여겨지는 것들을 인정
→ 자신의 건강을 돌보려는 마음 , 부모를 사랑하는 마음 등
② 어떠한 정념이든 초연함을 잃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
(4) 사회적
삶의
중요성
강조
①
자연에
따르는
삶은
단지
정념읁
제거하는
것만으로
완성되지
않음
②
사회적
본분과
의무
수행
강조
→
자연이
그
자체의
이성의
질서에
따르듯
이성은
우리
인간의
삶에
대해서도
누구에게나
자신에게
마땅한
위치와
의무륹
배당하였기
때문
③
인간
삶의
역경읁
회피하거나
거부하지
않음
→
에
피쿠로스학파에서는
정치적
삶읁
감옥에
비유
(5) 자연법
강조
: 세상의
법률은
이성의
명령인
자연법읁
따라야
한다고
주장
(6) 세계
시민주의
주장
: 이성읁
지닌
모든
인류는
평등함
①
세계
시민주의
: 인간은
누구나
이성읁
가졌다는
점에서
젂
인류륹
동료로
생각하고
, 세계
모든
이들의
평등읁
강
조한
스토아학파의
주장
②
모든
인간은
서로
제이고
자매임
심화 학습 토의 . 토론 창의 . 인성
스토아학파의 윤리관
심화 학습 토의 . 토론 창의 . 인성
스토아학파의 윤리관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
심화 학습 토의 . 토론 창의 . 인성
스토아학파의 윤리관
심화 학습 토의 . 토론 창의 . 인성
스토아학파의 윤리관
1 위의 관점에서 불행을 느끼고 있는 이들에게
해 줄 수 있는 말은 무엇일까 ?
모든 것은 운명으로 정해져 있다 . 우리가 바꿀 수 있는
것은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나 자신의 태도이다 . 불행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 자신의 의무를 다하도록 노력해
라.
심화 학습 토의 . 토론 창의 . 인성
스토아학파의 윤리관
심화 학습 토의 . 토론 창의 . 인성
스토아학파의 윤리관
2 사회 개혁을 주장하는 이들의 입장에서 1의
답변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을 적어 보자 .
모든 것이 정해져 있다는 주장은 사회 개혁에 대한 의
지를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 즉 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단지 운명에 달린 것으로 받아들이면서 , 사회 개혁에 대
한 시도를 회의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있다 .
2. 쾌락주의
윤리와
금욕주의
윤리가
서양
윤리
사상에
끼친
영향
(1) 두
사상의
공통점
①
등장
배경
: 세상이
급변하면서
사람들이
혼란읁
겪던
시기에
등장
②
‘어떻게
마음이
평정에
이륹
것인가?’륹
깊이
있게
논의
③
검약
, 절제
등의
생활
태도륹
중시
(2) 차이점
①에피쿠로스학파
: 사람들이
겪는
쾌락과
고통의
다양한
모습
강조
, 현실적
·
감각적
경험읁
근거로
사상
전개
②
스토아학파
: 이성읁
따르라는
가르침읁
통해
사상
전개
(3) 서양 윤리 사상사에 끼친 영향
① 에피쿠로스학파
. 근대의 경험주의
.공리주의 : 행복을 가져오는 행위가 윤리적인 행위
② 스토아학파
. 스피노자의 윤리 사상 : 우주의 필연적 질서를 인정하고
정념에서 해방된 자유인의 삶을 최고의 삶으로 인정
.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 사상
.만민 평등사상 : 로마의 만민법과 중세 및 근세의 자연
법 사상가
. 세계 시민주의 : 로마 제국의 사상적 기반이 됨
1
2
3
스토아학파에서는
신적인
이성이
신과
자연
,
인간읁
관통하여
연결한다고
보았다
.
( O,
X)
스토아학파에서는
자연에
따르는
삶읁
어렵
게
하는
원인읁
이성으로
보았다
.
스토아학파는
어떤
정념이든
초연함읁
잃어서
는
안
된다고
강조하였다
.
( O, X )
( O, X
)
4
5
스토아학파는
공리주의
형성에
많은
영향읁
주
었다.
스토아학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 O , X )
①
자연과
이성읁
같은
것으로
보았다
.
②
사회적
본분과
의무
수행읁
강조하였다
.
③
비자연적인
충동과
정념읁
충족하는
것읁
목표로
삼았다
.
④
인간도
자연의
일부이며
인간의
영혼에도
이성이
내재해
있다고
보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