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상륙한태풍빈도수의십년간변동특성한반도에상륙한태풍빈도수의십년간변동특성
서론서론
.
Chu and Clark(1999) 과
Elsner et al. (2000) 은
매년
태풍
발생빈도가
증
가하며
모든
태풍
발생해역에서
태풍의
강도가
증가함읁
보였다
.
.
Lighthill et al.(1994) 과
Klotzbach(2006) 은
매년
태풍
발생빈도의
변화
경향이
뚜렷하지
않음읁
보였다
.
.
Landsea et al.(1996) 과
Ho et al.(2004), Chan(2005) 은
대체적으로
1990
년대
이후
태풍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있다고
하였다
.
.
반면, 한국
영향
또는
상륙
태풍
변동에
대한
연구는
빈약한
상황이며
,
2000년대
초반까지만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므로
2010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해
한국
상륙
태풍의
장기
추세를
조사하고
, 한국
상륙
태풍
활동
의
최근
변화를
분석하였다
.
자료및분석자료및분석
.
태풍
자료는
일본
지역특별기상센터에서
제공받은
자료로
태풍의
이륽
,
위.경도
위치
, 최소
중심기압
, 중심
최대풍속
등의
변수가
6시간
간격
.
.
기상
자료는
geopotential height, u, v, 가강수량, 적설량, 현엱
등의
변
수가
포함됙
2.5°x2.5°
격자간격의
NCEP-NCAR 재분석
자료를
사용
.
.
SST자료는
웑
평균됙
시공간적
해상도로
구성됙
NOAA 자료
사용
.
.
5°x5°의
격자간격마다
태풍의
발생
및
이동빈도를
계산
.
.
연직바람시어
분석
및
t-test 사용.
한반도상륙태풍빈도변화한반도상륙태풍빈도변화
.
한반도
상륙한
태풍의
월볁
빈도
분석
.
.
시계열에서
중요한
변화시점읁
찾아주는
통계적
변동시점
분석읁
이용
하여
한반도
상륙
태풍의
빈도
변동
분석
.
P1 : 평균
0.6 개
P2 : 평균
1.2 개
Regime shift
P2와P1 차이P2와P1 차이
P2와
P1의
발생빈도
차이
P2와
P1의
평균
이동빈도
차이
.
태풍발생의
평균
위도
, 경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함
.
.
P2기간의
태풍들이
P1기간의
태풍
보다
좀
더
동쪽에서
발생
및
이동
.
P2와P1 차이P2와P1 차이
P1 의
한반도
상륙
태풍의
전체
진로
P2의
한반도
상륙
태풍의
전체
진로
.
P2기간
동안의
태풍들이
서태평양의
동쪽해역에서
발생한
것이
많음
.
.
145E를
기준으로
P1은
3개(14.3%), P2 는
10개(29.4%).
.
태풍의
평균
발생위치에서
경도차는
90% 신뢰수준에서
유의
.
P2와 P1 차이 P2와 P1 차이
P1 의 한반도 상륙 진로
P2의 한반도 상륙 진로
.
P1 : 중국대륙을 경유하여 서해를 경유한 뒤 한반도 서해안의 중북부
지역에 주로 상륙 .
.
P2 : 동중국해를 경유하여 서해안의 남부지역 및 남해안에 상륙
∴ 최근 태풍의 한반도 상륙 진로가 점차 남동쪽으로 이동 .
P2와P1 차이P2와P1 차이
한반도
상륙시
평균
중심기압
.
P2가
P1 보다
태풍
중심기압이
약
10hpa 더
낮다
.
.
이유1 : 한반도의
남해에는
고온의
쿠로시오
난류
, 서해에는
저수온
.
이유2 : P1 기간에는
중국대륙의
경유
빈도가
높아
태풍
강도가
약해짐
.
P2와P1 차이L
H
H
L
P2와P1 차이L
H
H
L
P2와
P1의
500hpa 유선
차이
P2와
P1의
850hpa 유선
차이
.
500hpa : 남동쪽
고기압
아노말리로부터
불어오는
남동풍
아노말리의
영향읁
받아
태풍읁
한반도로
이동시키는
지향류
역할읁
함
.
.
850hpa : 서태평양에서
북서
-고, 남동-저의
기압
패턴
아노말리로
인해
태풍들이
남동쪽에서
좀
더
많이
발생하는
원인
.
P2와 P1 차이 P2와 P1 차이
P2와 P1의 북태평양 고기압 위치 P2와 P1의 가강수량 차이
.
북태평양 고기압 차이 : P2(solid line) 가 P1 보다 좀더 북쪽에 위치 .
.
가강수량 차이 : 30N 북쪽에서 양의 값 .
∴ 일반적으로 태풍들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서쪽을 따라 이동하므로 북
태평양 고기압이 한반도에 더 가까이 위치한 P2 한반도 상륙 빈도가 높음 .
P2와P1 차이P2와P1 차이
P2의
연직바람시어
차이
P2와
P1의
SST 차이
.
연직바람시어
차이
: 한반도
부근
음의
아노말리가
분포하여
태풍
강도
가
강화되는
좋은
환경
제공
.
.
SST 차이
: 20N 읁
경계로
남고
-북저의
아노말리
분포
.
서태평양
남동쪽
양의
아노말리
: 태풍
발생
원인
.
한반도
남쪽
양
, 서해
음의
아노말리
: 한반도
태풍의
강도에
영향
.
P2와 P1 차이 P2와 P1 차이
P2와 P1의 적설량 차이
P2와 P1의 현열 차이
.
적설량 차이 : 봄철 동아시아 지역에서 음의 적설 아노말리 .
.
현열 차이 : 동아시아 지역에서 양의 아노말리 .
∴ 더 적은 적설과 큰 현열은 강한 지표 가열을 의미하며 , 여름철 동아시
아 대륙에 저기압 아노말리를 형성시키는 원인 .
요약 및 결론 요약 및 결론
.
P1과 P2의 분석을 통해 1980년대이후 한반도 태풍 상륙 빈도가 급격
하게증가하게 된 원인 분석 .
P1
.
한반도 서해안의 중북부 지역
에 상륙 .
.
북태평양 고기압이 남서쪽 발
달.
P2
.
한반도 서해안의 남부지역과 남
해안에 상륙 .
.
북태평양 고기압이 북동쪽 발달 .
.
한반도 부근에 남풍의 아노말리
가 강화 ⇒ 태풍을 한반도로 이동
시키는 지향류 역할 .
.
연직바람 시어가 낮고 SST가높
아 태풍 강화되기 좋은 조건 .
.
동아시아 지역 봄철 적은 적설량
으로 인한 지표면 가열이 저기압
아노말리 발달에 좋은 조건 .